백자현 고려대 교수 "인간의 충동성, 조절 가능성 열렸다"

반응형
송보미 기자

입력 : 2018-12-16 20:50 수정 : 2018-12-16 20:50


[헬스앤라이프 송보미 기자] 약물에 중독되고 충동적으로 일탈과 범죄를 일으키는 이들은 심리적으로 나약하거나 가정교육을 잘못 받았기 때문 일까. 정신질환성 충동성, 중독적 행위, 강박 등은 의지에 달린 문제가 아니라 뇌의 문제다. 1848년 철도 건설 현장에서 일하던 한 남자는 발파 작업 중 쇠 막대가 두개골을 관통하는 사고를 당했다. 책 <쇠막대가 머리를 뚫고 간 사나 이>에 따르면 그 쇠막대의 길이는 1m가 넘었고, 무게는 6kg에 달했다. 그의 머리뼈는 깨져 있었고 입 천장에는 쇠막 대가 지나간 구멍이 보였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는 살아 있었다. 19세기 뇌 과학계의 중요한 사건이자 인물로 꼽히는 피니어스 게이지(Phineas Gage)다. 게이지는 그 뒤로 성격이 완전히 변했다. 유쾌하며 사람들과 잘 어울리던 그가 사고 이후 변덕이 심하고 상스러운 말을 내뱉으며 어떤 때는 집요하고 과도하게 고집을 부리기도 했다. 물리적으로 뇌가 손상되자 성격이 바뀐 것이다. 이는 심장(마음)이 뇌에 우선한다고 믿었던 아리스토텔레스식 사고를 완전히 뒤집 었다. 게이지의 사례처럼 인간의 성격으로 구분되는 감정 및 정서적 행동은 뇌가 관장한다.

 

그러나 아직도 충동성이나 중독 행위 등을 마음가짐의 나약함이나 의지의 박약으로 보는 시각은 만연하다. 이런 가운데 충동성 조절 역시 뇌의 영역이라는 것을 보다 분명하게, 신경세포의 종류와 회로까지 밝혀낸 국내 과학자가 있다. 뇌의 편도체 중심핵과 분계선조 침대핵 사이의 도파민 D2 수용체 발현 신경세포의 시냅스 연결에 의해 자기 통제가 조절되며 특히 이 신경회로가 활성화되면 충동성이 줄어든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 타겟이될 수 있다는 게 연구의 골자다. 백자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를 만나봤다. 

 

사진=헬스앤라이프 

 

<연구요약> 

 

백자현 교수 연구팀은....





기사전문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