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앤라이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재개관기념전 두 번째 전시 개최

반응형

 

최초로 공개되는 <책거리>, <문자도>병풍 걸작

 

[헬스앤라이프=곽은영기자] 예술의전당이 현대화랑과 공동으로 서예박물관 재개관기념 두 번째 전시로 ‘조선 궁중화‧민화 걸작-문자도文字圖‧책거리冊巨里’를 8월 28일까지 서예박물관 전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조선시대 궁중화, 민화 중 문자도(文字圖)와 책거리(冊巨里) 등 58점이 1, 2부로 나뉘어 공개된다. 국립중앙박물관, 삼성미술관 리움 등 한국을 대표하는 국공립‧사립 뮤지엄과 화랑, 개인 등 20여 곳의 비장 걸작이 대규모로 한자리에서 공개되는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정조 때 즈음 그려진 초창기 <책가도>병풍(삼성미술관리움 소장, 개인소장)과 <책거리>병풍(서울미술관소장, 개인소장)을 필두로 궁중화원 이형록이 그린 <책가도>병풍(국립박물관소장)과 <백수백복도>(서울역사박물관), <자수책거리>(용인 민속촌 소장), <제주도문자도>(제주대박물관소장, 개인소장), <궁중문자도>(개인소장)등 <책가도>와 <책거리>, <문자도>걸작 병풍 20여점이 최초로 일괄 공개된다.  

 

지금까지 문자도와 책거리는 우리 서화미술의 역사에서 망각된 존재였다. 그림을 그린 사람을 모른다는 이유로 삼류 작가로 격하시켰고, 작품의 격조마저도 본그림이라고 평가절하 했다. 이유는 문자도 책가도 같은 민화의 가치를 지금도 여전한 지배계층의 기득권의 시각이나 서구미술의 아카데미즘 척도로만 보고 있기 때문이다.

 

서는 현대미술에서 낙오돼 있다. 현대미술도 서구화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서는 서, 미술은 미술로 갈린 지 100여년 만에 서이자 미술인 문자도와 책가도가 우리미술의 본 모습으로 다시 우리 앞에 나타났다. 요컨대 한국의 서예가 안고 있는 대중화 문제나 한국의 현대미술이 안고 있는 정체성 문제는 문자도 책가도라는 지점에서 서와 미술이 만나 제3영역에서 서로의 문제를 풀어가는 실마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재개관 이후 서예박물관 전시프로그램은 서(書)의 본질 심화와 영역확산이라는 두 가지 큰 방향에서 운영된다. 문자도와 책거리의 공통키워드는 문자와 책이다. 문자가 없다면 책도 없고, 칼과 붓으로 새기고 쓰는 책이 없었다면 지금 우리가 전시하는 문자도 책가도도 없다. 붓과 무관하게 보이는 키보드 치기의 문자영상시대 마저도 결국 서(書)로 말미암은 것이다. 여기서 인간은 근본 ‘서’의 존재임을 확인하게 된다.

 

서예박물관과 현대화랑의 만남은 얼핏 서와 현대미술만큼이나 공통분모나 접점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문자도와 책가도를 만나면서 서와 현대미술의 접점이 명료하게 제시됐다. 이 지점이 우리 현대미술의 역사뿌리이자 미래의 꽃임도 확인됐다. 협업의 목적은 서(書)를 전문으로 하는 뮤지엄과 미술을 전문으로 하는 갤러리가 만나 서화미술을 관통하는 한국예술의 정체성을 찾고 명실상부한 세계화 국제화를 이뤄내자는 것이다.

 

한편 서울 전시회가 끝난 뒤 9월부터 2017년 9월까지는 미국 순회전시에 들어갈 예정이다. 9월부터 12월까지는 뉴욕 스토니부룩대학교 찰스왕센터, 내년 3월부터 5월까지는 캔자스대학교 스펜서박물관, 7월부터 9월까지는 클리블랜드미술관에서 전시가 열리고, 내년 4월에는 캔자스대학교에서 책거리에 관한 국제학술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 헬스앤라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앱다운로드
반응형

댓글